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렉틴을 피해야 하는 이유

건강

by 춤추는 개구리 2020. 3. 12. 22:37

본문

핵심은 창자 벽을 지켜라.

 

모든 면역 세포의 60%가 창자 내벽에 모여 있고,

노화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장이 건강하지 못해 새면서 나쁜 분자나 박테리아들이

창자 벽을 넘나들면서 우리 몸에 염증을 일으킨다.

 

알츠하이머, 당뇨, 암, 자가면역질환 등도 노화와 관련된

질병의 근본 원인이 이 만성 염증에서 생긴다.

노화와 병은 창자 벽이 차츰차츰 허물어지면서 일어난다.

 

그럼 무엇이 창자 벽에 손상을 줄까?

 

한 가지 원인은 바로 렉틴이다.

렉틴은 옥수수, 통곡물, 통밀,

유제품, 땅콩, 밀가루, 설탕, 콩(압력솥 고온에 요리하면 렉틴 비활성화됨)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렉틴이 함유된 음식을 먹으면, 점액인 뮤코 다당질이

렉틴과 결합해 장 내벽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가둬 놓는다.

그래도 장에 도달하면 장 내벽 세포가 방어를 한 게 된다.

 

 

점막 세포는 더 많은 점액을 생성해 렉틴이 창자 벽을 뚫고

나가지 못하게 렉틴과 결합해 가둬 둔다.

문제는 렉틴과 결합느라 점액질이 부족해져 장점액은 보호막이 되어주지 못하고 

아예 없는 경우까지 존재하며, 장은 점점 약해져서 무너지게 된다.

 

렉틴이 포함된 음식을 많이 먹으면 렉틴과 결합하느라 보호막인

점액이 계속 소진되고, 렉틴의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돼 점액이

부족 해 진다는 말이다.

 

장벽을 튼튼히 해서 나쁜 균들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잘 지켜야 노화와 질병에 

자유로울 것이다.

 

 

이 렉틴은

장 점막층을 갈라놓고,

구멍을 뚫어 장내 모든 세균에게도 길을 터 주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장점막 세포에 구멍이 나고 다른 화합물이 새어

들어오면서

건강이 나빠지기 시작한다.

이것이 장누수 증후군이라는 증상으로

노화와 관련된 질병이 이 증상에서 비롯된다.

 

노화는 사실상 장벽이 조금씩 무너지면서  더 빨리 일어난다.

장이 망가지면 영양분을 흡수하는데도 문제가 생겨 

단백질이 소모되고 근육이 부족해진다고 한다.

 

또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장에 막대한 손상을

가하는 것은 양성자펌프억제제와 위산 완화제이다.

위산은 몸으로 들어온 세균을 막는 좋은 방어막이며,

균이 창자에 도착하기전에 위산에 죽게 만드는 고마운 존재다.

 

 

장이 새면서 염증이 생기고

그로 인해 노화가 오는 과정을

는 대부분 외부에서  

찾고 외부만을 신경 쓰면 살아온 거 같다.

주름, 미백, 근육감소, 시력저하, 관절 통증 등등

 

이제 외부가 아닌 장을 지키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장내벽을 지키려면?

 

폴리아민이 풍부해지는 음식

* 오징어, 굴, 게, 조개류

* 사우어크라우트(독일식 김치) 즉 발효식품

* 십자 화가 채소, 녹색채소

* 버섯

* 말차

* 헤이즐넛, 호두, 피스타치 오등 견과류 및 씨앗류 (땅콩 제외)

* 닭 간

* 숙성치즈

* 렌틸콩

 

장내 유익균을 위한 최고의 음식

 

* 프로바이오틱스-장내 유익균이 좋아하는 섬유질

* 아마씨 가루

* 아티초크, 리크, 히카마, 오크라,

* 십자화과 채소 -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방울다다기 양배추, 치커리와

* 견과류

* 버섯류

* 당분이 적은 과일

* 아보카도

* 그린 바나나

* 라즈베리, 블랙베리, 오디

* 무화과와 코코넛

* 몸에 좋은 지방-들기름, mct오일, 올리브유

* 조

* 커피 열매

* 엑스트라 다크 초콜릿

 

장을 튼튼하게 지켜서 외부 침입자는 막고, 좋은 박테리아는 행복하게 해 주어

오래도록 장에 머물면서 우리 몸을 잘 보살피게 해야 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